본문 바로가기

정읍시 문화관광

정읍관광

음악형식

<악학궤범> 무고(舞鼓)에는 만기(慢機).중기(中機).급기(急機)의 세 틀(三機) 형식으로 되어 있고, <경국대전> 에는 정읍이기(井邑二機)라고 하였는데, 이는 <정과정 鄭瓜鄭> 삼기곡(三機曲), <진작 眞勺> 삼기(三機), <처용가> 와 <만전춘> 의 전강(前腔).후강(後腔).대엽(大葉), 또는 만조(慢調).평조(平調).삭조(數調) 등과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곡은 4장으로 구성되고 1.2.3장은 6장단, 4장은 2장단이다.
2장은 1장의 반복이고, 3장은 1장과 2장보다 4도 위로 조옮김하였고, 4장은 원래의 조의 되돌아간 가락이다. 수제천(정읍)은 <삼현영산회상> 중 상영산(上靈山)과 같이 연음형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사 수제천(정읍)의 가사가 정읍사이다. <고려사> 악지(樂志)의 향악정재(鄕樂呈才)인 무고에는 諸妓歌井邑詞 鄕樂奏其曲라 하여 다음과 같이 가사가 소개되어 있다.

정읍사가요 가사 상세 내용 하단에 있음

전강(前腔)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소엽(小葉)
아으 다롱디리
후강전(後腔全)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ᄃᆞㅣ를 드ᄃᆞㅣ욜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과편(過片)
어느이다 노코시라
김선조(金善調)
어긔야 내 가논ᄃᆞㅣ 점그ᄅᆞᆯ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소엽(小葉)
아으 다롱디리

이와 같이, 전강.후강.과편으로 구분되고, 만기.중기.급기의 세 틀로 된 연주법이 있다.
과편은 과편(過片)으로도 쓰는데, 환두(換頭)의 성격을 띤 것 같고, 김선조는 <한림별곡> 제6편에 나오는 김선(金善) 비파(琵琶)라고 한 비파의 명인 김선의 가락과 관계가 있을듯하다.

다만, 후강에는 소엽에 해당하는 아으 다롱디리가 빠진 점이 주목되며, 국문학자들 사이에서는 후강전(後腔全)이라는 주장과 후강 전(全)져재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지만, 음악면에서는 후강의 용례는 있으나 후강전의 용례는 찾아 볼 수 없으므로 후강전져재가 옳다고 보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세 틀로 된 음악적 형식은 삼국시대에는 있을 수 없고, 그러한 형식 또한 고려 중엽 이전으로 소급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 악학궤범, 대악후보, 한국가요의 연구(조윤제, 을유문화사, 1948), 여요전주(양주동, 을유문화사, 1947).

  • 관리부서문화예술과/문화재팀
  • 연락처063-539-518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