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읍시 문화관광

정읍관광

배경

상춘곡의 이해

  • 범패와작법 이미지
  • 불교의식인 제(濟)는 죽은자를 위한 위해 행하는 것으로서, 무당굿의 씻김굿, 진오귀굿에 해당하는 '상주권공제(常住勸公齋)', 재수를 빌기 위해 드리는 것으로서 '대례왕공문(大禮王供文)' 혹은 무당굿의 재수굿에 해당하는 의식인 '시왕각배제(十王各拜齋)', 죽어서 극락왕생하기를 생전에 미리 비는 것으로서 무당굿의 생오귀굿에 해당하는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齋)', 수중고흔을 위한 재로서 무당굿의 용왕굿에 해당하는 '수륙제(水陸齋)'.
  • 국가의 안녕과 군인들의 무운장구, 혹은 큰 조직체나 죽은자를 위한 것으로서 무당굿의 동제. 혹은 마을굿에 해당하는 '영산제(靈山齋)'등이 있다.

범패는 일명 범음(梵音), 인도(印度/引導)소리, 어산(魚山)이라고 하는데, 가곡(歌曲), 판소리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성악곡 중의 하나이다. 범패는 장단과 화성이 없는 단성선율로 되어 있다.
범패는 그 발생연대가 8-9세기라는 점에서, 서양음악의 그레고리안 성가와 비슷하다고 한다.
서양음악사의 주류를 이루는 근원이 그레고리안 성가에 있듯이 범패는 우리의 정악인 궁중 제사음악을 제외한 아악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범패에는 그 음악적인 유형으로 보아 비전문적인 승려인 안채비들이 부르는 안채비소리/염불과, 범패를 전문으로 하는 승려인 겉채비/바깥채비들이 부르는 훗소리와 짓소리, 그리고 축원으로 하는 화청(和請)이나 회심곡(回心曲) 등 4가지가 있다.

작법은 착복(着服)이라고도 하며, 영산재 중 식당작법 속에 그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기타의 재에도 작법은 요잡이라고 하여 곡목과 곡목 사이에 빈번히 사용된다.
작법은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의 3종이 있다.
나비춤은 그 쓰이는 용도에 따라 도량게작법(度量偈作法), 다게작법(多偈作法), 사방요신작법(四方搖身作法), 정례작법(頂禮作法), 향화게작법(香花偈作法), 운심게작법(運心偈作法), 지옥고작법(地獄苦作法), 자귀의불작법(自歸依佛作法), 만다라작법(曼茶羅作法), 기경작법(起經作法), 삼귀의작법(三歸依作法), 모란찬작법(牡丹讚作法), 구원겁중작법(久遠劫中作法), 오공양작법(五供養作法), 타주(打柱) 등 15가지로 나누어진다.
바라춤은 천수(千手)바라, 명(鳴)바라, 사다라니바라, 관욕게(灌浴偈)바라, 막바라/보통바라, 내림게(來臨偈)바라 등 6가지로 나누어지며, 법고춤에는 법고춤과 홍구춤이 있다.

  • 관리부서문화예술과/문화예술팀
  • 연락처063-539-517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