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읍시 문화관광

정읍관광

정읍BRAND

|정읍BRAND|수제천|수제천 이해|음계

음계

음계

수제천

수제천은 신라시대에 창작되어 전 4장(章)으로 된 관악곡이며 국가의 태평과 번영을 축원하는 궁중 연악(宴樂)으로 연주되었던 곡으로 정읍(井邑)이라고도 하였다.
1930년대 노악사들은 수제천(정읍)을 빗가락정읍(橫指井邑)이라고도 하였으며, 현재 국립국악원에서는 수제천 壽齊天이라는 이름으로 쓰고 있다.
<대악후보 大樂後譜> 권7에 <동동 動動> 악보와 함께 수제천(정읍) 악보가 전하고, 무고(舞鼓) 정재(呈才)의 반주로 쓰이며, 계면조라고 명기되어 있다.

(* 예전 진연(進宴) 때마다 <보허자 步虛子>.<향당교주 鄕唐交奏> 등 같은 곡에 수많은 이름을 그때그때 임시로 지어 썼기 때문에 수제천이라는 곡명은 옳지 않다는 견해도 있다.
그 한 예를 들면 순조 28년(1828) 자경전 (慈慶殿) 진작(進爵) 때 왕이 잔을 들 때 아뢰는 향당교주에 수제천지곡(壽齊天之曲)이라는 이름을 지어 부르는 등 많은 예를 찾을 수 있다.)

피리의 주선율(主旋律)이 취주되고 이어서 대금, 소금, 해금, 아쟁 등 여러 악기가 뒤를 받아 다음 악구(樂句)를 열어주는 연음 형식의 특징이 있고, 장중하고도 화려하고 신비스러운 가락에 완만하고 여유있는 장단의 진행은, 우리 아악곡 가운데 가장 으뜸으로 꼽는 것이다.

봉황음(鳳凰音)이라는 이름으로도 연주되어 1970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1회 유네스코 음악제 전통음악 분야에서 최우수 악곡으로 특선되어 당당히 세계적 거작(巨作)으로 공인된 바도 있었던 것이다.

무고(舞鼓)는, 고려 때 동동곡(動動曲) 무애곡(舞顫曲)과 아울러 연기되어온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이다.
"무고"란 원래 북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니, 고려 충렬왕 때 시중(市中) 이곤(李棍)이 영해(寧海 現 慶北道 盈德郡)에 귀양갔을 때 바다에 떠 있는 널쪽을 얻어 만든 북에서 비롯한 것이라 한다.

"무고" 연기는 고려 이래,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었던 것 같다.
무고의 연기는 기생들이 북을 치며 춤을 추고 정읍사의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추는 연기이다.
그런데 북의 수가 증감하는데 따라 기생의 수도 증감되는 것이다. 북의 수에 따라 그 호칭도 이고무(二鼓舞) 사고무(四鼓舞) 팔고무(八鼓舞)라고 일컬었다.

악학궤범에 전하는 회무격고도(回舞擊鼓圖) (성종 24년~1493년)와 진작의궤(進爵儀軌) (순조 28년~1828년)에 전하는 무도(舞圖)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화가 있었음을 짐작게 한다. 그리고 노래도 조선 중기까지도 정읍사를 창사(唱詞)로 불러오다가 말기(末期 순조?)에 와서는 오언한시(五言漢詩)를 지어 창사로 불러왔다.

음계
빗가락정읍은 <악학궤범> 권1 악조총의(樂調總義)와 현금조(玄琴條)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調)와 관계가 있다. 원래 우리 음악에는 평조와 계면조에 각각 7조가 있었는데, 빗가락(橫指 : 四指)은 세가락(三指) 다음, 즉 네번째 조로서 세가락의 주음은 임종(林鍾)이고, 빗가락은 남려(南呂)가 주음이 된다. 현행 수제천(정읍)은 남려(南呂) 황종(黃鐘) 태족(太簇) 고세(姑洗) 임종(林鐘) 등 5음(音)으로 구성되는데 악기는 피리, 소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의 편제로 연주된다.
(현행 수제천(정읍)은 남려(南呂, C). 태주(太주, F). 고선(姑선, G). 임종(林鍾, Bb)의 4음계로 된 계면조이다. 악기는 피리, 소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의 편제로 연주된다. )

  • 관리부서문화예술과/문화예술팀
  • 연락처063-539-517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