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읍시 문화관광

정읍관광

|정읍관광|문화유적|유물/유적

유물/유적

모충사 모충사 모충사

이전 이미지 다음 이미지

모충사

  • 시대조선시대
  • 소재지정읍시 옹동면 산성리 97

상세정보

1666년(顯宗 7年)에 창건하여 백광언(白光彦)을 향사(享祠)하고 1702년(肅宗 28年) 전덕린(全德麟), 송지순(宋之順), 이지시(李之詩), 이지례(李之禮), 송인신(宋寅臣), 1806년(純祖 6年) 권극평(權克平), 1842년(純祖 6年) 최응립(崔應立), 백함생(白咸生)을 추배(追配)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백광언 선생의 출생지인 도동(道洞:瓮洞面 七石里)에서 사우(祠宇)를 세웠다. 1868년(高宗 5年) 정부의 영(令)에 의하여 헐었으나 1924년 유림(儒林)들의 발의로 지금의 자리로 옮겼고 1979년 복설(復設)하였다.
□ 향사인물(享祀人物)
백광언(白光彦:1554∼1592):관(貫)은 수원(水原), 자(字)는 명선(明善),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고성현령(古城縣令)과 북청판관(北淸判官)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창의(倡義)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 觀察使) 이광(李侊)의 선봉장(先鋒將)으로 용인(龍仁) 싸움에서 순절(殉節)하니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주고 충민(忠愍)의 시호(諡號)를 내리다.
전덕린(全德麟):관은 천안(天安), 자는 상경(祥卿), 판관(判官)을 역임하고 임진왜란 때 백광언과 같이 창의(倡義)하여 용인(龍仁) 싸움에서 순절했다.
송지순(宋之順:1547∼1615):관은 여산(礪山), 자는 정숙(正淑), 임진왜란 때 창의하니 군자감정(軍資監正)을 특별히 제수받고 사후(死後)에 정민(貞愍)의 시호(諡號)를 내렸다.
이지시(李之詩):관 단양(丹陽) 호군으로 임진왜란때 용인에서 싸우다 순절했다.
이지례(李之禮):관 단양(丹陽) 호군으로 임진왜란때 용인에서 싸우다 순절(殉節)하니 장민(莊愍)의 시호(諡號)를 내렸다.
권극평(權克平):관 안동(安東), 자 평보(平甫), 호 칠송(漆松), 임진왜란때 창의(倡義)하여 보공장군(保功將軍)이 서훈되고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벼슬이 오충도제부도사(五衝都提府都事)에 이르렀다.
백함생(白咸生:1589∼1637):백광언(白光彦)의 아들이다. 웅천현감(熊川縣監)으로 이괄(李适)의 란(亂)에 전공(戰功)으로 진무원종훈(振武原從勳)을 받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에 강화(江華) 싸움에서 순절하였다.
최응립(崔應立:1599∼1637):관 삭령(朔寧), 자 주극(柱極), 호 동계(東溪), 이괄의 란 백함생(白咸生)과 창의하여 전공(戰功)으로 진무원종훈(振武原從勳)을 받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때 강화 싸움에서 순절했다.

목록

  • 관리부서동학문화재과/문화재정책팀
  • 연락처063-539-691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