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발 [喇叭]
나발은 나팔이라고도 하며 대취타에 주로 쓰이며 농악에서 신호용으로 사용하기도한다.
나발의 길이는 3자 8치 정도이나 일정치않고 두도막 또는 세도막으로 구분하여 금속으로 만든 긴 원추형 관을 만들고 아래 넓은 편으로 밀어 짧게 꽂아 넣을수있게 만든다.
피스톤이 없으며 자연배음으로 3~4음 정도의 음정을 연주할수있으나 악기마다 음정이 일정치 않다.
태평소 [太平簫]
태평소는 호적(胡笛),호적(號笛), 소이나, 쇄나, 철적, 날라리 등의 다양한 이름이 존재한다. 이 악기는 서양에서 들어온것으로 우리나라에는 고려말에 들어왔으며 대취타, 정대업 중 소무, 분웅, 영관 등에 쓰였으며 현재는 대취타 정대업 외에 풍물놀이 등에서 사용하며 농악사찰 등의 음악에 쓰인다. 관은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여 원추형으로 만들고 상단에 동구 하단에 동(銅)팔랑이 있는점이 특징이고 앞에 7개, 뒤에 1의 지공(指孔)이 있다.
지 [篪]
피리를 좁게는 국악기 중의 향필률(鄕피리), 당필률(唐피리), 세필률(細피리) 등을 가리키기도 하나, 넓게는 곧은 일자 모양의 대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 소리를 낼수있는것은 국악기나 서양악기, 또는 세로나 가로로 부는 악기를 구별하지않고 통틀어 피리라고 부른다. 한국음악에 사용하는 피리의 종류는 당피리, 향피리, 세피리 이상 세가지가 있다. 당피리는 당악기 계통의 피리라는 뜻으로 한문으로는 당필률이라 하고 고려예종9년 중국 송나라로부터 신악이 들어올때 당피리도 같이 들어왔다. 향피리는 당피리와 구분할때 향피리라 부르고 세피리와 구분할때는 대피리라 부르며 원 이름은 피리이다. 중국에서 수입되지 않은 우리 토속악기로 발생유래는 알수없으며 '악학궤범'에는 현재와 같이 8공으로 되어있다. 세피리는 향피리보다 관이 가늘고 소리도 작아 세피리라 하고 가곡반주, 줄풍류 등에서 연주하며 가늘지만 주선율을 담당한다.
퉁소 [洞簫]
퉁소는 통소라고 부르기도 하며, 속칭 통애라고도 하며 굵고 오래묵은 대나무에 구멍을 뚫어 세로로 잡고 부는 종적(縱笛)이다. 음높이와 음넓이가 다른 당악기와 비슷하여 당악기에 속해 있었으나 조선중기 이후로 향악기화 하였다. 고려사에는 8구멍이었으나 '악학궤범'에는 청공을 더하여 9구멍이 되었고 현재에는 정악퉁소에서는 청공이 없어지고 시나위나 민속악을 하는 퉁소는 청공악을 사용한다. 현재 북청 사자놀음에 유일하게 사용되고있다.
대금 [大芩]
대금은 일명 '젓대'라고도 하며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향악기인 삼현삼죽 중, 삼죽의 대금, 중금, 소금 중에서 가장 큰 악기이다. 대금의 재료로 '악학궤범' 시절에는 황죽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후대에는 병죽인 쌍골죽을 사용한다. 쌍골죽은 살이 두텁고 단단하며 맑고 야무진 소리가 난다.오늘날 대금에는 풍류대금과 산조대금 두 종류가 있는데 풍류대금은 정악대금이라고도 하며 풍류음악 전반에 사용되고 대금은 산조, 민요, 시나위 등을 연주한다. 대금의 형태는 관 위쪽이 막혀있고 조금 내려가서 김을 불어넣는 취구(吹口)가 있으며, 그 아래에 청공(淸孔)이 뚫려 있는데, 이 위에 갈대 속청을 붙여 이것으로 대금 특유의 음색을 낸다. 관대의 중앙에는 6개의 지공(指孔)이 있어 이것으로 음의 고저가 이루어지고 그밖에 칠성공이 있다.
피리 [觱篥]
피리를 좁게는 국악기 중의 향필률(鄕피리), 당필률(唐피리), 세필률(細피리) 등을 가리키기도 하나, 넓게는 곧은 일자 모양의 대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 소리를 낼수있는것은 국악기나 서양악기, 또는 세로나 가로로 부는 악기를 구별하지않고 통틀어 피리라고 부른다. 한국음악에 사용하는 피리의 종류는 당피리, 향피리, 세피리 이상 세가지가 있다. 당피리는 당악기 계통의 피리라는 뜻으로 한문으로는 당필률이라 하고 고려예종9년 중국 송나라로부터 신악이 들어올때 당피리도 같이 들어왔다. 향피리는 당피리와 구분할때 향피리라 부르고 세피리와 구분할때는 대피리라 부르며 원 이름은 피리이다. 중국에서 수입되지 않은 우리 토속악기로 발생유래는 알수없으며 '악학궤범'에는 현재와 같이 8공으로 되어있다. 세피리는 향피리보다 관이 가늘고 소리도 작아 세피리라 하고 가곡반주, 줄풍류 등에서 연주하며 가늘지만 주선율을 담당한다.
약 [籥]
중국 고대의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고려예종 11)에 들여왔다. 옛날에는 갈대로 만들었기 때문에 위약이라 하였으나 지금은 굵은 황죽(黃竹)으로 지공(指孔) 3개를 뚫어 만든다. 음역은 황종(黃鍾)에서 응종(應鍾)에 이르는 12율(律)이나 지공이 3개 뿐이어서 12율을 내려면 지공의 3분의 1만을 여는 강반규(强半竅), 지공의 2분의 1만을 여는 반규(半竅), 지공의 3분의 2만을 여는 약반규(弱半竅) 등 아주 어려운 운지법(運指法)을 써야한다. 이와같이 어렵고 복잡한 운지법 때문에 속도가 매우 느리거나 장식음이 없는 음악에만 쓸수있다.
생황 [笙簧]
생황은 김을 넣어 부는 악기로 박통에 17개의 죽관을 꽂고 박통 옆에 만든 취구를 불면 아래 붙인 금속 황이 울려지고 이것이 관대에 공명되어 소리가 난다. 옛날에는 관수(管數)에 따라 따로 화(和).생(笙).우(芋)등의 이름이 있었으나 지금은 이 종류의 악기를 통틀어 생황이라고 한다. 국악기 중에 두가지 이상의 음을 동시에 낼수있는 유일한 화음악기로서 이를 쌍성주법이라 하고 단소와의 이중주에 많이 쓰인다.
나각 [螺角]
나각은 자연색의 소라껍질 뾰족한 부분에 구멍을 뚫어 불도록 만든 악기이고 '나' 또는 '소라', '고동'이라고도 한다. 고려사에 보이는 취각군과 나각군의 악기와 관련이 있을것으로 보여지고 소리는 자연배음으로 3~4개 음정을 낼수있으나 악기에떄라 음정이 일정치않다. 예전에는 군례(軍禮)와 종묘제례악 중 정대업에 맞추어 추는 일무 등에 사용되었으며 지금은 대취타에 편성된다.
훈 [塤]
훈은 점토를 구어서 만든 악기로 명구라고 한다. 훈에서는 저울추 모양, 달걀모양, 공모양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훈은 저울추 모양이다. 문헌상으로는 고려 예종 11년 (1116년)에 송나라에서 들어왔다고 전해지고 문묘제향에 쓰인다. 취구는 위에 있고 지공은 앞에 세개, 뒤에 두개가 있다. 음색은 낮고 부드러운 소리를 낸다. 황종(黃鐘)에서 응종(應鐘)까지 12음을 내야 하므로 운지법이 매우 어렵다.
소금 [小笒]
소금(당적)은 당악기 음악에 사용하는 횡적의 하나로 우리나라에 전해진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고려문종 30년에 수입된것으로 전해진다. 고려이후 악학궤범 시절까지는 당악기의 원형을 유지하고있었으나 그후 완전히 향악기화하였다. 황죽 또는 쌍골죽으로 만들며 취구 1개와 지공 7개가 있으나 제 7공은 사용되지않는다. 음색은 맑고 영롱하고 약 2옥타브정도의 음역을 가지고있어서 현재는 국악기 가운데 가장 높은 음 넓이를 가지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