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홈으로 시민마당|알림마당|새소식

로딩중입니다...
제목 렙토스피라증 주의보 ( 긴급 )
작성자 정우면
작성일 2004-08-21
조회수 1774

▣ 감염시기 : 추수기인 9~11월께

▣ 발생지역 : 농촌지역(농경지 고인물)

▣ 감염경로 : 주로 들쥐 등에 의해 전파되는 전염병
-- 들쥐, 집쥐, 족제비, 여우, 개 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으로 균이 배출되어 물과 토양을 오염시키며

-- 그 오염된 지역에서 작업하는 사람에게 주로 피부의 미세
한 상처를 통해 균이 옮겨져 전염된다

▣ 발병초기증상
발병초기 증상이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눈의 충혈 등 감기몸살과 비슷하므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초기 증세 2~3일 후에는 흉통, 기침, 각혈,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심하면 황달 또는 소변감소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 감염결과 증상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쉽게 회복될 수 있으나 균이 인체의 거의 모든 장기에 침범해 간이나 신장의 합병증이 오거나 다량의 폐출혈이 동반될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 질병이다.

▣ 대처요령
침수지역에서 벼 세우기 작업을 할 때 반드시 장화나 긴 옷 등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태풍으로 인한 침수 지역에서는 렙토스피라증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
발열등 초기감기 증상이 나타나면 렙토스피라 감염을 의심해 신속히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 신고요령
--보건소를 통해 수해지역 주민들은 이같은 내용을 신고하고 환자발생시 신속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는 한편 병·의원에는 급성 발열성 질환자가 내원했을 경우 반드시 보건소에 신고할 것

-- 올해 발생한 렙토스피라증 환자는 17일 현재 21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7명이 많다. 이 질병은 1980년대 중반 국내 발생이 확인된 이래 98년부터 농촌지역 가을철 추수기를 전후해 매년 수백명씩 환자가 발생해 왔다.

※다음은 감염주의 요령.

- 작업시 손발 등에 상처를 확인하고 장화, 장갑 등 보호구를 착용한다.
- 가능한 농경지의 고인물에는 손발을 담그거나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 가급적 논의 물을 빼고 마른 뒤에 벼베기 등 작업을 실시한다.
- 비슷한 증세가 있으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한다. 증세가 나타나면 앰피시린, 독시싸이크린, 아목사실린 등이 효과가 있으니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한다.
- 들쥐, 집쥐 등 매개체가 될 만한 동물을 없애도록 노력한다.

목록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